-
[독학사 영어영문학] God's Grandeur - G.M. Hopkins(20세기 영미시)독학사 영어영문학과/영미시 2020. 8. 19. 09:39
God's Grandeur 신의 위대함 이번에는 독학사 3, 4단계 출제작품인 제럴드 맨리 홉킨스(Gerard Manley Hopkins)의 신의 위대함(God's Grandeur)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씁니다~~~~!!
홉킨스의 다른 출제작인 The Windhover는 다음에 바로 이어서 올릴테니 같이 번갈아가면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G.M. Hopkins는 1844~1889년 생의 영국작가입니다.
G.M. Hopkins * 홉킨스의 생애
- 화가가 되고자 했으나 1866년 로마가톨릭으로 개종 -> 예수회에 들어감(신부가 됨) -> 이때 그는 그의 초기시들이 세속적이라며 다 태웠다. -> 농촌에서 성직자로 근무 -> 그가 죽은지 29년이 지나서야 그의 시가 출판되었다. 그러나 너무 독창적이고 난해해서 거의 팔리지 않았다.
* 시인으로서의 경력
- 빅토리아시대의 시인 but 현대시인들과 1920, 1930년대 영미시단에 큰영향을 끼친 것을 감안해 현대시인으로 본다.
- 성직자가 되고 이전 시를 다태웠지만 1875년 수녀들이 탄 배가 침몰하는 사건 이후, [The Wreck of the Deutschland]라는 시를 쓴다. -> 다시 시인이 됨
- 훌륭한 소네트 집필: [God’s Grandeur] [Pied Beauty] [The Starlight Night] [Spring] [The Sea and the skylark] [The Windhover]
- [Terrible Sonnets]: 시인과 성직자 사이에서 갈등하며 정신적 공허와 절망이 드러난다.
- 이후 자연의 아름다움에 신이 깃들어있다고 여긴다.
- 19세기에 시를 썻지만, ‘sprung rhythm(도약율)’의 창안 ->20세기 현대시의 기법을 창안하고 실험한 현대시, 자유시의 효시로 평가된다.
* 홉킨스의 특징
1. Sprung Rhythm이라는 독특한 운율을 창안★
2. Sonnet 전문시인 (God's Grandeur, The Windhover 모두 소네트 형식)★
3. 전통적인 시형식을 무시하고 독창적이고 새로운 시작법을 만듦 -> 사후에 더 인정받음
4. 도치, 생략문장 같이 복잡한 문장을 사용
5. Romanticism에서 탈피한 20C Modernism에 가깝다.
6. 자연을 다룰때 Inscape(감성적 풍경), Instress(감성적 긴장)이 드러난다.★
7. 주요 제재: 자연, 종교, 신, 인간 / 종교시인이다.★
참고) Sprung Rhythm의 특징(주관식 출제가능)
1. 첫 음절에 강세(stress)를 두는 다양한 수의 음절로 된 음보(feet)를 내포한 시의 보격(meter)을 말한다.
2. 음절의 수가 아니라 완전히 강세(stress)에만 의지하는 Rhythm이다.
3. '도약(sprung)'은 '급격한(abrupt)'이란 의미로 이전 정형률에서 평온한 흐름의 리듬과 달리 도약률로 쓴 시에서는 리듬의 변화가 급격하게 느껴진다.
4. 각 행의 강음의 수는 일정하지만 음절의 수는 다르다. (밑에 시에서 강세는 한 행에 5개, 음절수 제각각)
본문 읽으실때 아래의 영상이랑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ㅎㅎ 이 영상만 봐도 신의 은총이 온몸에 느껴지는 기분이 많이 납니다ㅎㅎㅎ 할렐루야!!
https://youtu.be/UXjq8H5hMj0
-----본문-----
God's Grandeur - Gerard Manley Hopkins
The world is charged with the grandeur of God.
It will flame out, like shining from shook foil;
It gathers to a greatness, like the ooze of oil (오일을 짜다) (올리브오일 / 성유의 의미)
Crushed. Why do men then now not reck his rod? (신의 권위, 신의 위대함을 의미)
Generations have trod, have trod, have trod; (tread의 과거, 과거분사, 밟다)
And all is seared with trade; bleared, smeared with toil;
And wears man's smudge and shares man's smell: the soil
Is bare now, nor can foot feel, being shod.
* rod: 지팡이, 번갯불과 연관되는 신의 지팡이(staff)를 뜻한다.
즉 신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쓰임
And for all this, nature is never spent;
There lives the dearest freshness deep down things;
And though the last lights off the black West went
Oh, morning, at the brown brink eastward, springs —
Because the Holy Ghost over the bent
World broods with warm breast and with ah! bright wings.
-----한글 해석-----
신의 위대함 - 제럴드 맨리 홉킨스
세상은 신의 장엄함으로 충만하다.
흔들리는 금박에서 나는 광채처럼 빛난다.
으깨어져 스며 나온 기름처럼 점점 불어 난다.
왜 인간은 신의 지팡이를 개의치 않을까?
수많은 세대들이 밝고 밝고 밟아서
온통 밝혀 얼룩지고, 인간의 노역으로 흐려지고 더럽혀졌다 ;
인간의 더러움이 묻고, 인간의 냄새가 난다 : 토양은
이제 헐벗고, 신발을 신은 발은 느끼지를 못한다.
그럼에도, 자연은 소진되지 않는다.
사물 깊숙한 곳에 고귀한 신선함이 산다.
마지막 빛이 어두운 서쪽으로 가버린다 해도,
오. 아침은 동쪽 갈색 끝에서 솟아 오른다. 세계를 살펴 보시는 성령이
따스한 가슴과 아! 빛나는 날개로 품어 주시므로.
* God's Grandeur의 특징
1. 신의 존엄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심이 드러남
2. Rhythm: 전통 영시소네트(Sonnet) 형식인 약강5보격(Iambic Pentameter)을 깨고 ‘sprung rhythm’을 사용한다.
-> 일상어의 리듬처럼 자유롭고, 감정의 강약이 리듬으로 나타난다.
3. 두운(Alliteration 또는 Initial Rhyme): 강세가 있는 음절이 같은 자음인 경우 (제목도 God's Grandeur)
4. 각운: 옥타브에서는 abba, 세스텟에서는 cdcdcd
* 내용
- 이 시에서는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경외감과 두려움을 표현하고 있다.(산업혁명 이후로 자연을 더럽히고 파괴하는 이미지를 시에서 그려내고 있다)
-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는 것에 신은 분노하지만, 신은 인간을 영원히 벌하지 않는다. -> 너그러운 자연과 신의 모습이 세스텟에서 일치되고 있다.
** 참고로 시인의 생애보다는 시인이 쓴 대표작들이 더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다 외울필요는 없고 독학사 시험보시면 약간의 힌트가 있거나 다른 보기들이 너무 아닌것들이라 출제작들만 열심히 공부하셔도 맞추실 수 있을겁니다. (시인의 생애는 그냥 그 시인이 어떤사람인지 특징정도만 알아두면 됩니다)
다음글은 The Windhover로 아래 글에 들어가시면 됩니당
https://evanns.tistory.com/32
[독학사 영어영문학] The Windhover - G.M. Hopkins(20세기 영미시)
https://evanns.tistory.com/31 [독학사 영어영문학] God's Grandeur - G.M. Hopkins(20세기 영미시) 이번에는 독학사 3, 4단계 출제작품인 제럴드 맨리 홉킨스(Gerard Manley Hopkins)의 신의 위대함(God's Grand..
evanns.tistory.com
'독학사 영어영문학과 > 영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학사 영어영문학]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 T.S Eliot(20세기 영미시) (0) 2020.08.27 [독학사 영어영문학] Leda and the Swan - William Butler Yeats(20세기 영미시) (0) 2020.08.26 [독학사 영어영문학] Sailing to Byzantium - William Butler Yeats(20세기 영미시) (0) 2020.08.24 [독학사 영어영문학] The Windhover - G.M. Hopkins(20세기 영미시) (1) 2020.08.21 [독학사 영어영문학] The Darkling Thrush - Thomas Hardy(20세기 영미시) (0) 2020.08.11